격동속으로 현대정치

5.18 민주화운동과 전두환 정부의 권력 장악: 1980년대의 갈등

그래도 대한민국 2024. 12. 15. 16:26

5.18 민주화운동과 전두환 정부의 권력 장악: 1980년대의 갈등
1980년대 초반, 한국 사회는 5.18 민주화운동의 여파와 전두환 정부의 권력 장악으로 인해 큰 격변을 겪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5.18 민주화운동의 진압, 전두환 정부의 권력 강화, 그리고 민주화 요구의 확산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1. 5.18 민주화운동의 진압
1979년 5월 27일 새벽, 계엄군은 탱크와 헬기를 동원해 전라남도 도청으로 진격하였습니다. 시민군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신군부에 의해 무력으로 진압되었고, 5.18 민주화운동은 막을 내렸습니다. 그러나 이 운동은 한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고, 1997년 대한민국 대법원은 이를 헌법을 수호하기 위한 정당한 행위로 규정하였습니다. 5.18 민주화운동은 한국뿐만 아니라 필리핀, 대만 등 아시아 여러 나라의 민주화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2011년에는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2. 전두환의 권력 장악
5.18 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한 신군부는 전두환을 상임위원장으로 하는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를 설치하고, 입법·사법·행정 삼권을 장악하여 사실상 국가의 모든 권력을 통제하였습니다. 이후 언론을 강제 통폐합하고 언론인들을 해직하며, 삼청교육대를 운영하여 공포 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

신군부는 최규하 대통령을 압박해 사임시키고, 1980년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해 전두환을 제11대 대통령으로 선출하였습니다. 전두환은 간접선거로 대통령을 선출하고, 대통령 임기를 7년 단임제로 규정하는 제8차 개정 헌법을 마련했습니다. 1981년에는 민주정의당의 단일 후보로 출마하여 간접선거로 제12대 대통령에 당선됨으로써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하였습니다.

3. 사회적 억압과 일부 자유의 확대
전두환 정부는 정의 사회 구현을 내세우며 유화정책을 펼쳤습니다. 학도호국단 폐지, 학생 교복과 두발 자율화, 야간 통행금지 해제, 해외여행 자유화 등 국민의 일상 생활에서 일부 자유를 확대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또한 프로야구 출범,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개최, 1988년 서울올림픽 유치 등 스포츠 활성화 정책을 통해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고 국민의 관심을 모았습니다.

특히 분단 이후 처음으로 서울과 평양에서 이산가족 상봉과 예술단 교환 공연을 성사시키며 남북관계에서도 상징적인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인권 탄압과 정치활동 금지로 민주화 요구를 억누르고, 언론의 자유를 제한하는 보도 지침을 시행하였습니다.

4. 민주화 요구의 확산
1980년대 중반, 전두환 정부의 강압적인 통치에 대한 국민들의 반발이 거세졌습니다. 민주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특히 학생들은 5.18 민주화운동의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정치적으로도 변화의 조짐이 나타났습니다. 1985년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화 인사들이 중심이 된 신한민주당이 제1 야당으로 부상하면서 반대 세력이 강화되었습니다. 신한민주당은 국민의 지지를 바탕으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며 천만 명 서명운동을 전개했습니다.

5. 인권 유린 사건과 국민의 분노
민주화 요구 시위가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의 인권 유린 사례들이 드러나면서 국민의 분노는 더욱 커졌습니다. 1986년 부천경찰서 성고문 사건과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은 정부의 잔혹한 인권 탄압을 상징하는 사건으로, 국민들의 분노를 폭발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정부는 박종철의 사망 원인을 은폐한 채, 1987년 4월 13일 개헌에 관한 일체의 논의를 금지하는 4.13 호헌조치를 발표하며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막고자 했습니다. 이는 독재 체제를 유지하려는 시도로 인식되었고, 국민의 저항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6. 이한열 사건과 민주화운동의 전개
1987년 6월, 서울에서 시위 중이던 대학생 이한열이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아 의식불명 상태에 빠지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 사건은 많은 이들의 분노를 자아내었고, 민주화 운동의 정점이 되었습니다.

결론
1980년대의 한국 사회는 5.18 민주화운동과 이후 전두환 정부의 권력 장악, 그리고 민주화 요구의 확산이라는 복잡한 상황에 직면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은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으며, 시민들의 권리와 자유에 대한 요구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주화 운동의 정신은 한국 사회의 정치적 변화와 발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근현대사#한국사#광복#현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