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zmGnZ/btsLHlXPkqK/h3MoJPek70cpyOQQ5KI871/tfile.jpg)
성종은 조선의 교육과 여러 제도를 완성한 성군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당시에는 그를 부르는 의외의 별명이 있었다. 바로 '주요 순 약월주'라는 별명이다. 이는 낮에는 요순처럼 정사를 잘 돌보지만, 밤에는 걸주처럼 술을 마시고 여색을 즐기는 왕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요순은 중국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황제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낮에는 성군으로서의 역할을 다했다는 뜻이다. 반면, 걸왕과 주왕은 폭군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주색에 빠진 임금을 의미한다. 이렇게 성종은 낮과 밤의 대조적인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그런가 하면, 조선 왕들 중에는 후궁을 단 한 명도 두지 않았던 왕이 세 명이나 있다. 그 중 하나는 조선 제20대 왕 경종이다. 경종은 세자 시절부터 병약했으며, 재위 4년 만에 돌연 사망했다. 그래서 후궁 없는 왕의 이름을 올리게 되었다. 또 다른 왕은 조선 제18대 왕 현종이다. 현종은 비록 34세의 나이로 요절했지만, 재위 기간이 15년이나 되었음에도 후궁을 두지 않았다. 그 이유 중 하나로 명성왕후의 성격이 대단히 강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명성왕후는 질투심이 강하고 권력욕도 있어 남편의 여인들을 향한 질투가 심했다.
마지막으로 후궁을 두지 않았던 왕으로는 순종이 있다. 순종은 일제의 압박 속에서 허수아비 왕로서의 삶을 살았기 때문에 후궁을 둘 여유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왕들의 이야기는 조선시대의 정치적 상황과 왕의 개인적 삶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제 다산왕에 대한 이야기로 넘어가 보자. 조선 국왕에게 가장 중요한 일 중 하나는 후손을 낳는 것이었다. 왕은 낮에는 정무를 보고, 밤에는 왕비와 후궁들에게도 관심을 기울여야 했다. 조선의 다산왕으로 알려진 태종은 부인과 후궁을 통해 무려 29명의 자녀를 낳았다. 이는 당시 왕의 역할 중 하나인 후계자를 낳는 일이 얼마나 중요했는지를 잘 보여준다. 성종 또한 16남 12녀를 낳으며 다산왕 2위에 올랐다.
조선의 다산왕 3위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다. 임금께서 잔병이 잦으시니 많은 신하들이 여색을 경계하라고 진언했지만, 임금은 듣기 싫어했다고 한다. 이는 율곡 이이의 석담일기에 나오는 내용으로, 이 시기의 왕이 누군지 유추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이를 통해 광해군이 다산왕 3위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광해군은 임진왜란 이후의 혼란스러운 시기에 왕으로서의 역할을 다했으며, 그 시절의 많은 이야기가 여전히 흥미롭다.
이러한 역사 속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인간의 복잡한 감정과 정치적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왕의 역할은 단순히 통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개인적인 삶의 선택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왕의 선택이 당시 사회에 미친 영향은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교훈을 준다.
#연산군 #광해군 #조선사 #조선왕조 #왕권과정치 #역사적인물 #정치적갈등 #역사교육 #조선시대 #왕의정치 #사회변화 #문화발전
![](https://blog.kakaocdn.net/dn/bivYk8/btsLHqLrngg/CkhRzAyeEnnXcojhK9ZFD0/tfile.jpg)
![](https://blog.kakaocdn.net/dn/QPF7G/btsLG3b33LY/W9NaSEhNyRzcBlyuqPP881/tfile.jpg)
![](https://blog.kakaocdn.net/dn/2bbzA/btsLF1Z81UW/pnXQVYlAQUJRyhOk3Ve7zK/tfile.jpg)
'재미있는 조선야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의 다산왕 3위는 선조로, 그는 임진왜란 전후의 혼란 속에서도 14남 11녀의 자녀를 두었다. (0) | 2025.02.14 |
---|---|
충청도 일부 지역에서 나던 신기한 맛의 물, 바로 초수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니 흥미롭다. (0) | 2025.02.12 |
조선시대 성종이 후추를 다량으로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후추를 예쁜 주머니에 담아 신하들과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선물로 주며 인심을 베풀었다 (0) | 2025.02.11 |
조선시대 성종이 후추씨를 간절히 원했던 이유와 그로 인해 발생한 흥미로운 이야기 (0) | 2025.02.10 |